반응형

철인왕후결말 2

[역사알기] 철인왕후 인물 철종 실제 스토리는?

역사 속 철종의 이야기 오늘은 드라마 철인왕후 속 실제 철종의 이야기에 대해 알아보려고합니다 :) - 철종 조선왕조 - 제 25대 왕(재위 1849~1863) 휘(諱) 변(昪). 초명 원범(元範). 자 도승(道升). 호 대용재(大勇齋). 전계대원군(全溪大院君) 광의 셋째 아들로 비(妃)는 철인왕후(哲仁王后) 김씨(金氏)이다. 1844년(헌종 10) 형 회평군(懷平君) 명(明)의 옥사(獄事)로 가족과 함께 강화(江華)에 유배되었다가, 1849년 대왕대비 순원왕후(純元王后:純祖妃)의 명으로 궁중에 들어와 덕완군(德完君)에 책봉되었으며, 1849년 19세로 헌종의 뒤를 이어 즉위하였다. 즉위 후 대왕대비 김씨가 수렴청정(垂簾聽政)을 하였으며, 1851년 대왕대비의 근친인 김문근(金汶根)의 딸을 왕비를 삼았다...

Study Life 2021.02.15

[이슈] '철인왕후'다운 결말 중, 철종과 철조의 차이는?

'철인왕후'다운 결말 중, 철종과 철조의 차이는? 지난 주말, 장봉환이 철종이 ''민주주의의 기틀을 마련한 군주'가 된 '철조실록'을 읽으며 웃음짓는 장면으로 마무리되었습니다. 근데, '철종'과 '철조' 무슨차이가 있는지 궁금하지 않으신가요? '종'과 '조'의 차이 - '조'와 '종'은 '묘호'로 불리는데, '묘호'는 왕이 죽은 후 후손들이 붙이는 이름이며 창업한 왕은 조(祖), 왕조를 유지한 왕은 종(宗)이라 불리는 것이 기본 관례라고합니다. 그러나 조선에선 왕권을 강화하거나 정통성을 강조하기 위해 후대 왕이 선대왕의 묘호를 종에서 조로 높이는 경우가 종종 있다구요:D 그러니, 역사속의 '철종' 보다 그 격이 더 올라간 결말이라고 볼 수 있겠죠? 더불어, 우리나라의 미래까지 바뀐 결말이라니... 상상만..

Culture & Art Life 2021.02.15
반응형